본문 바로가기
일상

운동손상증후군: 운동의 개념과 원칙 마지막 시간

by 건강운동관리사) 윤희중 트레이너 2021. 4. 23.

관절정렬의 구조적 변형에 이어 신경계 조절 및 생체역학적 조절을 끝으로 운동의 개념과 원칙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지금 읽고계신 글들과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우선적으로 공부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셜리샤먼의 운동손상증후군: 운동의 개념과 원칙 첫번째 이야기

운동병리학적 모델(KinesioPathologic Model) 반복운동(Repetitive Movement)과 지속적인 자세(Sustained Posture)가 운동손상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병리학적 비정상을 만들수 있다는 모델이다. 특히, 최적의.

930711.tistory.com

 

 

셜리샤먼의 운동손상증후군: 운동의 개념과 원칙 두번째 시간

운동의 개념과 원칙 두 번째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 내용들을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아래 글들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저와 함께 셜리샤먼 선생님의

930711.tistory.com


신경계 조절 요소의 손상

1. 동원패턴들의 변화 

어깨를 90도로 굴곡 시, 어깨의 과도한 상승이 보이는 사람들을 예로 들수 있습니다. 이는 어깨 통증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자주 보이는 패턴인데, 통증이 없어진 후에도 어깨의 상승은 남아있습니다. 즉, 신경계 Pattern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구두지시(Verbal)'로 견관절의 운동 패턴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 패턴을 재확립하기 위해 환자에게 '특수한 훈련(Specific Traning)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2. 협력근들의 동원 패턴에서 우세 변화

협력근들의 최적 동원의 변화가 일어나, 하나의 협력근이 다른 협력근보다 더 우세해진 것을 의미합니다. 짝힘 또는 대항 균형 협력근으로 작용하는 근육들 중에서 하나의 근육만이 동원됩니다. 결과로, 우세한 협력근의 방향으로 하나의 운동이 생기게 됩니다.

 

예시1) 상부승모근의 우세를 말할 수 있습니다.

어깨의 상승은 상부승모근의 우세와 하부승모근의 작용에 대한 대항균형이 손실되며 발생한 것입니다. 이 부분은 역시 '구두지시'가 가장 효과적인 중재방법입니다.

패턴의 변화이기때문에 운동 시, 하부승모근의 운동을 하라고 교육하는 것은 비교적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시2) 복근에 대한 슬괵근(햄스트링)의 우세

햄스트링이 복근보다 우세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두 근육은 골반의 후방경사의 짝힘으로써의 협력근인데, 복근의 약화가 있으면 햄스트링은 골반 후방경사에 우세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간단한 확인으로는 SLR검사가 있습니다. 고관절 굴곡근에 의한 골반 전방경사에 대항하기 위해 복근과 반대쪽 고관절 신전근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때, 복근의 약화가 있는 사람은 복근이 강한 사람보다 SLR시, 골반고정을 위해 반대쪽 고관절 신전근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예시4) 대둔근에 대한 햄스트링의 우세 

이런 패턴은 SwayBack자세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SwayBack이란 등의 상부는 후방 편향되고, 골반은 전방 편향 및 후방경사가 되고, 고관절은 신전되어 무게중심선이 고관절의 후방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자세는 몸통 기립유지를 위해 고관절 신전근의 역할을 최소화하여, 특히 둔부근육의 위축을 초래합니다. 이를 확인해 볼수 있는 방법으로는, 엎드린 자세에서 고관절 신전시 햄스트링이 둔근보다 먼저 활성화됩니다. 슬괵근이 우세하여 '과사용증후군'이 발생되기 매우 쉽습니다. 

SwayBackPosture-굽은등자세
Sway Back 굽은등

3. 동원과 상대적 유연성

예시1) 능동적 슬관절 굴곡 시, 요추의 신전과 과도한 골반의 전방경사

기여요인으로는 신전방향으로 요추의 과도한 유연성과 고관절 굴곡근과 척추주위근의 수축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요추의 뻣뻣함이 증가될 수 있도록 안정화를 위한 근활동성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배워야합니다. 운동방법으로는 Table-Top자세에서 몸통은 고정시키고, 팔다리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운동이 있겠습니다.

 

예시2) 능동적 슬관절 굴곡 시, 과도한 골반 후방경사

슬관절을 굴곡시키는 햄스트링의 수축이 골반을 후방경사시킵니다. 이는 등배신전근과 고관절 굴곡근이 서로 대항작용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4. 원심성수축 패턴

예시1) 전거근 

견관절 굴곡시에 익상이 발생하지 않고, 팔을 원위치로 내릴 때 익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전거근의 약화를 의미합니다.

원래는 내릴때보다 올릴때 전거근의 약화가 더 현저한데, 이는 구심성 수축시 더 큰 근육장력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전거근 약화에 대한 설명으로는 삼각근과 극상근이 신장되지 않거나 전거근만큼 빠르게 근활동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패턴은 견관절 충돌증후군의 유발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생체역학적 요소의 손상

역학적인 부분들: 중력

자세 정렬의 변화에 의해서 근육은 영향을 받는데 위의 예시를 든 굽은등 자세(Sway Back Posture)입니다. 중력선이 고관절 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관절 신전근의 요구도는 감소하게 되는데, 엉덩이 근육 검사 시 약화가 나타납니다. 

즉, 정적인 힘(중력)이 근육의 위축에 기여합니다. 

 

또한 정적인 힘은 근육의 활동을 증진시키고 주동근과 길항근간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킵니다. 예를들어 전방으로 기댄 자세(Forward Leaning Posture)입니다. 중력선은 발의 앞쪽 멀리 떨어지며, 이에따라 신체를 뒤로 잡아당기려는 가자미근(Soleus)의 수축요구도는 증가되며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요구도는 더 작아지게 됩니다. 또한, 중족골두에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중족골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마지막으로, 정적인 힘이 뼈에 부과되면 뼈의 모양과 관절면의 모양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슬관절의 과신전이며, 이들의 특징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경골과 비골이 수직적이지 않음
  • 경골에 대해 대퇴골이 전면으로 전이
  • 슬개골이 하방에 위치함 (과신전 자세에서 대퇴사두근의 활동이 감소된 결과)
  • 체중지지관절에서 정렬의 이탈은 관절의 부적절한 정렬의 정도를 장가시키는 모멘트 발생에 기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