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셜리샤먼의 운동손상증후군: 운동의 개념과 원칙 두번째 시간

by 건강운동관리사) 윤희중 트레이너 2021. 4. 22.

운동의 개념과 원칙 두 번째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 내용들을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아래 글들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저와 함께 셜리샤먼 선생님의 운동손상 증후군 1독 할 때까지 많은 관심과 응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셜리샤먼의 운동손상증후군 첫 번째 이야기

운동계 균형 개념의 발달 제1시대: 말초 신경근계와 근골격계 기능부전에 초점 말초 신경계와 근골격계의 기능부전이 있는 환자를 치료했던 시대이다. 정량적 평가를 위한 도수근력평가(MMT)와

930711.tistory.com

 

셜리샤먼의 운동손상증후군: 운동의 개념과 원칙 첫번째 이야기

운동병리학적 모델(KinesioPathologic Model) 반복운동(Repetitive Movement)과 지속적인 자세(Sustained Posture)가 운동손상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병리학적 비정상을 만들수 있다는 모델이다. 특히, 최적의.

930711.tistory.com


근육과 연부조직의 뻣뻣함(Muscle and Soft-Tissue Stiffness)

뻣뻣함은 근육의 한 특성으로, 근육들은 용수철과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수동적으로 신장시킬 때는 용수철을 늘리기 위해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느낌과 유사하다고 표현한다. 이런 근육의 뻣뻣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타이튼(Titin)

각각의 마이오신 필라멘트에는 6개의 타이튼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합니다. 근비대(Hyperthropy) 시, 수축성 단백질과 결합 조직 단백질의 숫자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로 인해 타이튼과 같은 결합조직 단백질도 증가가 되어 근육의 뻣뻣함이 증가하게 됩니다. 근위축이 발생하게 되면 반대로 뻣뻣함이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딕소 트로피(Thixotrophy)

정적인 상태로 오래 있게 되면 뻣뻣해지고(고체화), 흔들거나 휘저으면 유동체(액체화)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듯 근육과 관절의 뻣뻣함의 차이는 인접 관절에서 보상운동과 통증을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어, 햄스트링이 신장된 위치로 앉은 자세 시, 요추의 굴곡은 슬괵근이 신장되지 않은 자세에서 보다 더 큰 범위로 발생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뻣뻣함이 더 큰 관절, 즉 고관절보다 뻣뻣함이 더 적은 관절인 요추 관절에서 운동이 먼저 발생한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두 관절이 포함된 운동 시, 더 유연한 분절에서 운동이 먼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덜 뻣뻣한) 관절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스트레칭-햄스트링
햄스트링 스트레칭

보상적인 상대적 유연성

이처럼 안정성이 있어야 할 관절에서 운동이 일어났을 때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근육군에 뻣뻣함이 증가하면 그 근육에 의해 조절되는 인접 관절 또는 덜 뻣뻣한 관절에 보상운동이 유발됩니다. 예를 들어, 팔을 머리 위로 180도 드는 동작에서 요추가 신전 방향으로 유연하고, 광배근이 상대적으로 더 뻣뻣하게 되면 견관절 굴곡 시 요추는 신전됩니다. 

 

아래는 근육의 뻣뻣함과 근육 길이 손상이 복합된 서로 다른 경우들의 골반과 척추 보상운동에서의 역할들을 설명합니다

다소, 어려우실 수도 있겠지만 천천히 읽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림을 보면서 하나씩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왼쪽 맨 위를 그림 1로 시작하여 오른쪽 맨 아래를 그림 6으로 설정하겠습니다.

뻣뻣함-상대적유연성
보상적인 상대적 유연성

 

그림 1: 대퇴직근의 정상적 길이

요골반의 움직임 없이 슬관절을 굴곡할 수 있다. 척추 전면 지지조직의 뻣뻣함과 복근의 수동적 뻣뻣함이 대퇴직근의 뻣뻣함과 같거나 더 크다. 즉, 대퇴직근이 척추 전면과 복근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하며, 덜 뻣뻣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림 2: 대퇴직근의 단축

그림 1과 같은 환경이기 때문에 요골반은 보상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대퇴직근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슬관절 굴곡의 가동범위가 135도에서 90도로 제한된다. 

그림 3: 요골반 보상과 대퇴직근의 단축 및 뻣뻣함

슬관절의 굴곡이 끝나기 전에 보상적 골반 전방 경사와 요추 신전이 발생한다(A). 슬관절 굴곡 범위가 증가하면서 골반경사가 증가한다(B). 

골반의 경사를 제한하면 슬관절 굴곡은 90도로 제한된다(C). 대퇴직근의 뻣뻣함이 요추의 전면 부지 지구조와 복근의 뻣뻣함보다 더 큰 경우 발생하게 된다. 즉, 요추 전면부와 복근이 상대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정을 위해 복근과 척추를 지지하는 전면 구조의 뻣뻣함을 증가시키고, 대퇴직근을 신장해야 한다.

그림 4: 근육의 단축이 없는 요골반의 보상운동

슬관절을 135도 굴곡할 때, 가동범위 초기부터 골반 전방 경사와 요추 신전이 발생합니다. 골반을 고정하여도 슬관절은 135도로 유지됩니다. 즉, 보상적 운동은 근육의 단축과 관련이 없습니다. 척추 전면 지지구조와 복근이 정상적인 길이를 유지하고 있는 대퇴직근만큼 뻣뻣함이 적기 때문입니다(대퇴직근보다 상대적으로 더 유연하다)즉, 상대적 뻣뻣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교정은 몸통 전면부 근육의 뻣뻣함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슬관절의 가동범위가 135도 나오기 때문에 대퇴직근의 단축은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림 5: 능동적 근수축에 의해 조절되고, 수동적 굴곡 시 나타나는 보상적 운동 (좀 어려움 주의)

슬관절 수동 굴곡 시, 대퇴직근의 뻣뻣함이 척추의 전면 지지구조와 복근의 뻣뻣함보다 더 클 때, 보상적 요추 신전과 골반 전방 경사가 발생한다(A). 그러나, 슬관절 굴곡을 위해 슬괵근을 능동적으로 수축시키면 보상적 운동은 사라진다(B). 즉, A는 누군가가 무릎을 굴곡시킬 때 보상적 움직임이 발생하며, B는 스스로 무릎을 구부릴 때 보상적 움직임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슬괵근 수축에 의해 발생한 골반 후방 경사가 대퇴직근의 뻣뻣함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복근이 요추 신전과 골반 전방 경사에 대해 충분히 대항 균형을 할 만큼 수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그림 6: 슬관절 굴곡 시 골반이 후방 경사되고, 요추 커브가 약간 감소

정상적 관절 안정화 패턴은 주동근이 작용하기 전에 관절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대항근들이 먼저 수축을 해줘야 합니다.

여기에 충분한 장력을 발생하지 못하면, 골반은 후방으로 경사가 일어날 것입니다. 

결론

상대적 유연성에 의한 운동패턴의 손상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보상운동이 있는 분절에 뻣뻣함을 증가시켜줘야 한다. 엎드린 자세에서 복근을 수축하면서 슬관절을 굴곡하는 것은 보상운동이 일어나는 분절에 움직임을 제한해준다.


골격계 기본 요소의 손상: 관절 정렬의 구조적 변형

1. 골 운동 형상학의 손상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3개의 면인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에서 일어나는 뼈의 운동을 말한다. 이들의 손상은 다음과 같이 정의 내릴 수 있다. 1) 관절의 가동범위의 감소 2) 근육 길이의 단축 3) 관절낭 조직의 변화 및 관절 자체의 변화입니다. 

2. 관절운동 형상학의 손상

관절의 관절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을 말하며, 이들의 운동은 구름(Roll), 미끄러짐(Slide), 축돌림(Spin)의 3가지 기본적인 움직임이 일어납니다. 이들은 부수적 관절운동(Accessory Joint Movement)라고도 합니다. 오목면에 대해 볼록면에 움직이면 Roll-Slide는 반대방향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반면, 볼록면에 대해 오목면이 움직이면 Roll-Slide는 같은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고관절이 과신전 된 위치에 있는 자세가 지속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고관절 후방에 있는 구조물들은 단축과 뻣뻣함이 증가하게 됩니다. 고관절 굴곡 시, 대퇴골두의 후방 활주가 일어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전면부 관절낭 구조가 충돌되거나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3. 대퇴골의 전념(Anteversion)과 후념(Retroversion)

대퇴골 전념과 후념
대퇴골의 전념과 후념

이들의 정의는 넙다리 목(대퇴경)과 넙다리뼈(대퇴골) 아랫부분 가로축에 의해 구성되는 수평면 상에서의 각도를 말합니다. 정상 전경은 대퇴골을 위에서 관찰했을 때, 약 14~15도가 정상 각도입니다.

과도한 전경 (대퇴골의 내회전)

각도가 15도보다 현저히 큰 경우이며,  W 앉기와 역양반자세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으로 향한 발가락(Toe-In)인 경우가 있습니다. W앉기 자세는 경골이 외측으로 회전되며, 대퇴골이 안쪽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상하는 회전 변화를 만들게 됩니다

고관절의 과도한 내회전 및 외회전의 제한이 주된 특성입니다.

후경 (대퇴골의 외회전)

각도가 15도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발이 바깥쪽으로 돌아간 외형을 보이며, 이를 '찰리 채플린-보행'이라고 부릅니다. 주된 특성으로는 고관절이 내회전 제한 및 과도한 외회전입니다.


이렇게 운동의 개념과 원칙 두 번째 시간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세 번째 시간이자 마지막 시간인 신경계 조절 요소의 손상과 생체역학적 요소의 손상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