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셜리샤먼의 운동손상증후군: 운동의 개념과 원칙 첫번째 이야기

by 건강운동관리사) 윤희중 트레이너 2021. 4. 16.

운동병리학적 모델(KinesioPathologic Model)

반복운동(Repetitive Movement)과 지속적인 자세(Sustained Posture)가 운동손상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병리학적 비정상을 만들수 있다는 모델이다. 특히, 최적의 운동학적 기준으로부터 벗어난 반복적인 운동의 누적효과는 조직 손상이 된다. 미세손상이 누적되어 거대손상으로까지 이어지는 결과도 초래한다. 비정상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교한 운동패턴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사진설명
운동병리학적 모델

순간회전 중심의 경로(PICR: Path of Instaneous of Rotation)

어떤 순간에 뼈와 같은 단단한 체절체(Rigid Segmental Body)가 회전할 떄의 지점이 움직이는 경로로, 정교한 운동패턴의 평가를 위한 유용한 기준이 된다. 많은 관절에서 PICR을 분석하기는 쉽지않지만, 관절가동범위와 PICR에 대한 지식은 운동에 대한 판단과 관찰의 기준을 제공해준다. PICR과 관절운동의 형태를 결정하는 해부학 및 운동학적 요소로는 다음과 같다. 1)관절면의 형태 2)인대에 의한 조절 3)협력근의 짝힘

 


근육계의 기본요소 손상

근육 수축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근섬유의 수, 각 섬유안의 수축요소의 수, 근섬유 배열, 근섬유의 기본적 길이, 수축요소의 형상이 있다. 또한, 근력이라 하는 근육의 힘은 근육의 생리학적 단면적에 비례하며, 생리학적 단면적이란 근육안의 수축요소의 숫자를 의미한다. 근육의 크기는 위축과 비대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근위축이란, 근육의 최소의 장력도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일상적인 요구가 있을 때 수축요소를 소실한다. 근비대란, 근육의 적응능력 범위 내에서 긴장의 요구도가 많고, 긴장이 크게 발생하는 일상적인 요구가 있을 때 증가한다. 

근위축(Muscle Atrophy)

근위축은 수축하거나 촉진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통증과는 관련이 없다. 근육에 저항하는 부하가 부족하면 근위축이 발생한다. 이에따라 감소된 근절수와 결합조직은 근육의 장력에 영향을 미치며, 근육에 의해 조절되는 관절의 안정성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 단순히 근력강화 운동만으로는 근육동원의 방법이나 시기에 영향을 줄 수 없을 것이다. 

근비대를 위하여 근육을 수의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환자의 능력을 증대시켜야 한다. 이때, 전반적인 근위축에 문제보다는 협력근의 불균형에 문제가 있는 경우, 특정근육을 훈련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근육의 단면적을 형태학적으로 증가시키는데는 약 4주의 근력증진운동이 요구된다.

근좌상(Muscle Sprain)

짧은 시간동안 과도한 신장에 의해 발생한 것이며, 근위축과는 다르게 촉진 및 수축 시 통증이 발생한다. 검사 시, 통증이 나타나면 근위축이 아니라 좌상으로 인한 근약화이다. 신장된 근육은 테이프와 같은 외적인 지지를 받아야 하며, 운동은 통증이 없거나 약간의 불편을 느끼는 범위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근비대(Muscle Hypertrophy)

근비대는 근섬유 크기의 증가를 의미한다. 근육은 과부하 상태로 있으면 수축성과 결합조직에 단백질이 첨가되는 반응이 나타난다고 한다. 근비대에 따라 근육의 장력-발생능력이 증진되고, 뻣뻣함이 증가되며, 관절의 안정성을 증진시킨다. 쉽게 생각하면 근위축의 반대라고 생각하면된다.

근육길이(Muscle Length)의 증가

근육길이의 증가요인은 1)장기간 신장된 자세 2)부상성 좌상 3)지속적 신장이 있다. 1번은 과신장 약화, 부하에 대하여 원심성 수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한 형태의 좌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2번은 강한 원심성 수축에 대한 반응으로 교차다리가 붕괴되는 것이며, 3번은 신장된 자세에서의 부동화동안, 지속적 신장에 대한 근절이 직렬로 첨가되는 반응이다.

사진설명
근육길이-장력곡선

1. 근육은 신장된 자세, 장시간 안정을 취하면서 신장이 유지되면 근력이 약화된다.

 

2. 좌상 후 이차적인 근육길이 증가

근좌상(Muscle Sprain)에 의해 근육의 통증이 발생한다면 원인이 근육의 단축인지 신장인지 감별해야한다. 좌상은 생리학적 범위를 넘어서 스트레스와 신장을 받게 되면 액틴과 필라멘트가 부착된 Z선이 붕괴되는 결과로 발생한다. 근경련이나 통증은 근단축 뿐아니라 근육의 신장에 의한 좌상으로도 있을 수 있다. 길이가 늘어난 근육을 단축된 자세로 위치시키면, 각 근절이 과도하게 중첩되어 최대장력을 발생시키지 못하며, 도수근력검사(MMT)를 통해 관절분절을 유지할 수 없다. 

사진설명
신장된 근육에 변화된 근력

A사진이 Back Row운동을 과도하게 하여 능형근이 과도하게 발달하였다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B사진은 전거근 검사를 위해 견갑골의 위치를 잡으려고 견관절을 굴곡 시, 견갑골이 정상적인 외전위치로 움직이지 않는다. C사진은 검사자가 견갑골을 수동적으로 견갑골을 정상적인 위치로 가져간다.이 자세에서 검사자가 팔을 놓고 환자가 자세를 유지하려 할때, 전거근은 견갑골 외전과 상방회전을 유지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근절이 첨부되어 길어진 근육은 정상적인 길이의 근육에서 보다 많은 장력을 생성할 수 없다. 다만, 안정길이보다 근육길이를 길게 한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반대로, 근육의 길이가 단축된 문제도 있다. 특징으로는 근육의 길이가 짧아져 있기 때문에 정상길이에서는 오히려 힘이 약하다. 또한, 이런 단축된 자세로 근육을 고정하면 근절이 빨리 소실된다고 한다. 단축된 근육에 대한 올바른 신장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근육이 늘어난 자세에서 고정시켜주거나, 역동성 스플린트 같은 것을 이용하여 낮은 부하로 장기간 신장에 의해 달성되어야한다. 간혹 짧은 시간동은 관절가동범위를 크게 증가시키기 위해 강도높은 수동적 근육신장을 수행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는 근육 내의 필라멘트의 정렬을 붕괴시켜 근육을 손상시킨다. 

협력근의 길이 불균형

근육의 운동(Muscle Movement) 단축 근육(Short Muscle) 신장된 근육(Long Muscle)
견갑골 거상근과 내전근 견갑거근(Levator Scapula) 상부승모근(Upper Trapezius)
견갑골 내전근 능형근(Rhombodis) 하부승모근(Lower Trapezius)
상완관절 내회전근 대흉근(Pectoralis Major) 견갑하근(Scapuralis)
골반을 후방경사 시키는 체간굴곡근 복직근(Rectus Abdomins)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Ab)
고관절 굴곡근 TFL 장요근(Illiopsoas)
고관절 외전근 TFL 후중둔근(Posterior Gluteus Medius)
고관절 신전근과 슬관절 굴곡근 내측 슬괵근(Medial Hamstring) 외측 슬괵근(Lateral Hamstring)
족관절 등배굴곡근 장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댓글